무엇이든 올리고 질문하고 답하고 (지식과 경험 토론장)

그리스 선박용 공기압축기 수요 증가 예상

그리스 선박용 공기압축기 수요 증가 예상
2019-03-14 Rosalia Lee 그리스 아테네무역관
- 그리스 선주들은 2019년 국내 조선소로부터 발주를 늘릴 계획으로 선박용 공기압축기 수요 증가 예상 -
- 브랜드 인지도 강화를 중점으로 한 제품 홍보 전략 필요 -
□ 선박용 공기압축기 개요
ㅇ 공기압축기는 공기를 압축 생산해 높은 공압으로 저장했다가 필요에 따라 각 공압 공구에 공급해 주는 기계로 크게 압축기 본체와 압축 공기를 저장해 두는 공기 탱크로 나뉘어져 있음.
- 주기관(메인 엔진)과 보조 엔진에 시동을 걸 때 공기를 공급해 주는 역할을 하며 자동화 제어시스템에도 사용되고 주기적으로 A/S 관리와 부품 교체가 필요
ㅇ 공기압축기의 종류로는 주기관공기압축기, 갑판공기압축기, AC압축기, 냉동압축기 등이 있으며 그 외에 원심압축기, 회전식베인압축기, 회전식스크류압축기, 왕복공기압축기 등 매우 다양
- 공기압축기는 실린더 라이너, 피스톤 및 피스톤봉, 연접봉, 베어링, 프레임, 오일·수중 펌프, 흡입 밸브, 필터, 중간 냉각기, 구동모터, 크랭크케이스(Crankcase) 등의 부품으로 구성
선박용 공기압축기 주요부품 및 도면
주요부품 | 도면 |
자료원: OceanTech(www.ost.gr)
선박 내부 공기압축실
자료원: KB Delta(www.kbdelta.com)
□ 시장 동향
ㅇ 공기압축기의 수요는 그리스 선주사들의 신조 발주량과 연관
- 그리스 선주들과 비즈니스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는 현지 선박 에이전트(Technava) 뉴빌딩팀 매니저 알렉산드로스 알렉산드로플로스의 의견에 따르면, 그리스 선주들은 2019년 국내 조선소로부터 신조 발주를 늘릴 계획
- 그리스 선주들은 지난 5년 동안 신규 선박 발주를 계속했으며 2019년도에는 발주량이 증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기 때문에 공기압축기를 포함한 선박 부품의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
ㅇ 그리스선주사협회(Union of Greek Shipowners, UGS)에 따르면, 2017년 그리스 선주가 발주한 총 206척(1,000gt 이상)의 선박은 늦어도 2019년 상반기까지 완공돼 인도될 예정
- 그리스 선주사들이 소유한 선박이 전 세계 선박의 총 17.2%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그리스의 공기압축기 시장도 큰 편에 속하며 애프터마켓 시장도 활성화돼 있음.
ㅇ 그리스 공기압축기 시장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기업들은 MacGregor, Yanmar 등 유럽과 일본 기업
주요 경쟁사
제조사 | 현지 에이전트 | 원산지 |
MacGregor(ex Hatlapa) | MacGregor Hellas(독점) | 핀란드 |
Tanabe | 독점 에이전트 없음 | 일본 |
Teikoku | 독점 에이전트 없음 | 일본 |
Sperre | Alpha Marine(독점) | 노르웨이 |
Yanmar | 독점 에이전트 없음 | 일본 |
자료원: 무역관 자체조사
MacGregor사 수냉식공기압축기(경쟁기업 제품)
자료원: MacGregor(www.macgregor.com)
ㅇ 현지 주요 선박 부품 수입상의 의견에 따르면, 일본산 공기압축기의 비중이 그리스 전체 공기압축기 시장의 약 30%를 차지
- 유럽, 일본, 중국과 한국에서 공기압축기를 수입하며 생산 원산지에 따라 판매 가격에 차이가 있음.
- 선박용 공기압축기의 현지 제조사는 없으며 수요에 따라 제품을 수입해 공급하는 시장으로 형성돼 있고 OEM 방식으로 생산된 애프터마켓 시장 규모도 큰 편
ㅇ공기압축기의 최종 바이어는 그리스 선주사이며 그리스로 수입하기 보다는 주로 선박 수리가 이루어지는 항구 또는 선박이 건조되고 있는 조선소로 배송하는 방식
- 공기압축기와 같은 선박 부품은 현지 선주사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는 현지 선박 부품 수입상과 에이전트들을 통해 유통
- 선주사 또한 국내기업이 직접적으로 그리스 선주사에 수출하기 보다는 현지 에이전트나 수입상인 중간상을 걸쳐 수출하는 유통 채널을 선호
- 이러한 선박 부품 수입상들은 선박 부품 제조사들로부터 단순 수입보다는 독점 판매 계약을 체결하여 수입하는 것을 선호하는 편이나 부품 제조사의 인지도, 영업 방식에 따라 협의 후 결정
ㅇ 한국기업의 공기압축기가 현지 수입상들을 통해 현지에도 유통되고 있으며 이는 신규 선박 사업 유치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
- 현지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선박 부품 분야 영업·마케팅 방식은 한국기업이 한국 조선소와 함께 현지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, 국내기업의 현지 에이전트 또는 현지 수입상을 통해 그리스 선주사들의 수요를 확인하는 전형적인 루트를 따름.
- 이러한 방법을 통해 제조업체들은 각 조선소가 선주사들에게 제공하는 메이커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음.
ㅇ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(KOSHIPA)에 따르면, 국내조선소에서 건조된 선박의 54% 이상이 그리스로 수출되기 때문에 서로 상호협력 관계 유지를 위한 전략 필요
- 하지만 선박부품 시장은 경쟁이 매우 심한 편으로 선주사들과 현지 수입상들은 유럽과 일본 브랜드 제품의 품질을 특히 높게 평가하고 있기 때문에 유럽과 일본 제품의 수입 비중이 높음.
- 또한, 유럽과 일본 기업들의 경우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통해 네트워크를 유지하고 있으며 현지에서 긍정적인 Reference 리스트를 보유하며 브랜드 인지도를 유지
□ 수입 동향
ㅇ 공기압축기의 2018년 총 수입액은 2,143만 달러로 전년 2,122만 달러 대비 1% 증가
- 주요 수입국가로는 벨기에, 독일, 이탈리아로 1,541만 달러이며 그리스의 전체 수출 시장의 71.9%를 차지하고 있으며 한국은 그리스 수입국의 48위로 수출 점유율이 다소 적은 편
ㅇ 선박의 특성상 부품이 바로 그리스로 수입되기 보다는 선박이 건조되거나 수리되고 있는 국가로 배송되기 때문에 그리스가 한국으로부터 수입하는 해당 제품의 정확한 수입 통계 확인은 어려움.
그리스 공기압축기 수입 현황(HS코드 841480)
(단위: 백만 달러, %)
순위 | 국가명 | 수입액 | 점유율 | 증감률 | ||||
2016 | 2017 | 2018 | 2016 | 2017 | 2018 | 18/17 | ||
총합 | 12.707 | 21.217 | 21.429 | 100.0 | 100.0 | 100.0 | 1.00 | |
1 | 벨기에 | 3.050 | 10.885 | 7.243 | 24.00 | 51.30 | 33.80 | -33.46 |
2 | 독일 | 3.805 | 3.440 | 5.072 | 29.94 | 16.21 | 23.77 | 47.44 |
3 | 이탈리아 | 1.999 | 2.409 | 3.095 | 15.73 | 11.36 | 14.44 | 28.46 |
4 | 중국 | 0.771 | 0.982 | 1.835 | 6.07 | 4.63 | 8.57 | 86.95 |
5 | 오스트리아 | 0.423 | 0.559 | 0.819 | 3.33 | 2.64 | 3.82 | 46.45 |
6 | 영국 | 0.356 | 0.126 | 0.674 | 2.80 | 0.60 | 3.15 | 434.63 |
7 | 프랑스 | 0.517 | 0.491 | 0.379 | 4.07 | 2.32 | 1.77 | -22.86 |
8 | 네덜란드 | 0.189 | 0.128 | 0.281 | 1.49 | 0.60 | 1.31 | 119.99 |
9 | 사이프러스 | 0.024 | 0.016 | 0.249 | 0.19 | 0.07 | 1.16 | 1,491.87 |
10 | 리투아니아 | 0.054 | 0.125 | 0.212 | 0.43 | 0.59 | 0.99 | 68.94 |
48 | 대한민국 | 0.000 | 0.002 | 0.000 | 0.00 | 0.01 | 0.00 | -100.0 |
자료원: Eurostat
□ 수입 정책 및 세금
ㅇ 공기압축기의 경우 한-EU FTA로 인해 관세는 없지만 현지 부가가치세인 24%가 적용
ㅇ 공기압축기 제조 시 규격 및 사양은 IMO(국제해사기구), 미국해안경비대, 유럽연합 등 국제 기관들 관리하기 때문에 해당 규정을 준수해야 함.
- 또한, Lloyd’s, DNV, Bureau Veritas 등 제품에 대한 국제 인증 필요
□ 시사점
ㅇ 그리스 선주사들과 현지 선박 부품 수입상들이 제품 구매 고려 시 가격과 품질 경쟁력 외에도 브랜드 인지도가 있는 기업의 제품을 선호
- 선박 부품 시장은 경쟁이 심해 처음 그리스 진출을 희망하는 국내기업들에게 시장 진입이 다소 어려울 수 있음.
- 조선·해양 분야의 한국 인지도를 활용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 경쟁력 있는 가격과 좋은 품질을 갖춘다면 시장 진출 가능이 충분할 것으로 보임.
ㅇ 공기압축기와 같은 선박 부품은 선주사 및 관련 현지 선박기업들을 대상으로 제품 및 기술 설명이 포함된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홍보
- 국내조선사의 메이커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신뢰도를 더욱 높일 수 있어 회사 홍보 시 유리하게 작용
자료원: 그리스선주사협회(UGS), 국제연합무역개발협의회(UNCTAD), 유럽연합통계청(Eurostat), 그리스 선박 에이전트 담당자 인터뷰 ,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(KOSHIPA) 및 아테네 무역관 자체 조사 자료 종합
< 저작권자 ⓒ KOTRA & KOTRA 해외시장뉴스 >